728x90
반응형
html문서 내에서 작성한 한국말이 웹 브라우저에서 종종 깨져서 나올 때가 있다. 해결 방법을 알아보자.
한국말이 깨지는 이유가 뭘까? 브라우져마다 문자 인코딩 방식이 달라서 그렇다.항상 안 깨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직접 설정을 해줘야 한다.
아래는 간단한 html 웹문서이다.
<!DOCTYPE html>
<title>Crystal.log</title>
<h1><i>HTML</i> 프로젝트</h1>
<h2>이름: 김수정</h2>
<h3>이메일: ggg7152@gmail.com</h3>
<p>나는 <i>HTML</i>을 좋아한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는 그 날까지 화이팅!</p>
브라우저마다 다르겠지만 한글이 깨져서 나올 때가 있다.
UTF-8
utf-8은 한글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인코딩 방식이다. utf-8인코딩 방식을 사용하라고 브라우저에게 명령을 해줘야 한다.
utf-8 쓰는 방법
<meta charset = "utf-8">
위의 웹 문서에 <meta charset = "utf-8">를 추가해주면 된다.
<!DOCTYPE html>
<head>
<title>Crystal.log</title>
<meta charset = "utf-8">
</head>
<body>
<h1><i>HTML</i> 프로젝트</h1>
<h2>이름: crystal</h2>
<h3>이메일: ggg7152@gmail.com</h3>
<p>나는 <i>HTML</i>을 좋아한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는 그 날까지 화이팅!</p>
</body>
<meta> 태그는 <head> 영역에서 쓸 수 있다. <title>태그 밑에 <meta charset = "utf-8">를 써 주면 더 이상 한글이 깨지지 않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
'Frontend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float로 수평 정렬 (0) | 2022.05.12 |
---|---|
[TIL] CSS 폰트와 구글 웹폰트 (0) | 2022.05.12 |
[TIL] 01. CSS Basic Attributes (0) | 2022.05.12 |
[TIL] HTML 문서에서 CSS를 사용하는 방법 (0) | 2022.05.12 |
[TIL] 01. HTML basic tags (0) | 2022.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