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lv.1] 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rv8hR%2FbtrDiRdgyZA%2FOgNefWHYABPiQJxBuknulK%2Fimg.png)
[lv.1] 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 사항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answer "pPoooyY" true "Pyy" false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p'의 개수 2개, 'y'의 개수 2개로 같으므로 true를 return ..
![[TIL] 조건문(if, switch)과 삼항연산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Lbrl4%2FbtrCQ8adWDd%2F7xOZdhqqxclOd0oi2hGbI0%2Fimg.png)
[TIL] 조건문(if, switch)과 삼항연산자
1. if문 : 주어진 조건식이 참이면 조건문을 실행하고, 거짓이면 실행하지 않는다. 범위는 명확하게 써줘야 한다. {}를 왠만하면 써주도록 한다. 2. switch문 break문 이런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값이 A일 때만 A만 출력하고 싶은데, 전부 다 실행이 된 것을 볼 수 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꼭 break를 써줘야 한다. break문을 사용하면 value가 A일 때 case A만 실행되어 A가 콘솔에 출력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3. 삼항 연산자 (조건 연산자) 삼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조건식이 참이면 : 를 기준으로 왼쪽의 값을 반환하고, 거짓이면 :를 기준으로 오른쪽 값을 반환한다. let value = condition ? 참일 때 실행되는 식 : 거짓일 때 실행되는 식; 아주 ..
![[lv.1] 평균 구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88aEz%2FbtrCibEs6ZD%2FgkY6Wxf2hXduuGgzcXUJCK%2Fimg.png)
[lv.1] 평균 구하기
문제 설명 정수를 담고 있는 배열 arr의 평균값을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arr은 길이 1 이상, 100 이하인 배열입니다. arr의 원소는 -10,000 이상 1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 arrreturn [1,2,3,4] 2.5 [5,5] 5 내 풀이 1 내 풀이 2 // 내 풀이 2 - forEach function solution2(arr) { let sum = 0; arr.forEach((v)=>{ sum += v; }); return sum/arr.length; } 내 풀이 3 // 내 풀이 3 - reduce function solution3(arr) { return arr.reduce((acc, cur)=>acc+cur) / ar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