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TIL] JavaScript 형변환
Javascript는 느슨한 언어이므로 변수 선언시 타입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타입을 지정해주기도 하고, 자바스크립트 엔진 내에서 암시적으로 타입을 변한하기도 한다. 명시적 타입 변환이나 암시적 타입 변환이나 기존 원시값을 직접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원시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변경할 수 없다. 타입 변환이란 기존 원시 값을 사용해 다른 타입의 새로운 원시 값을 생성하는 것이다. 자바스크립트가 느슨한 언어이기에 정확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형변환의 원리를 꼭 알고 가야되겠구나 생각했다. (1) 명시적 형변환(explicit coercion)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캐스팅이라고 한다. 명시적 형변환(explicit coerc..
[TIL] 느슨한 타입의 동적 언어, 자바스크립트
C나 자바같은 정적타입 언어는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에 할당할 수 있는 값의 종류, 즉 데이터 타입을 사전에 선언해야 한다. 이를 명시적 타입 언어(explicit type declaration)라고 한다. 정적 타입 언어는 변수의 타입을 변경할 수 없으며 변수에 선언한 타입에 맞는 값만 할당할 수 있다. 정적 타입 언어는 컴파일 시점에 타입 체크(선언한 데이터 타입에 맞는 값을 할당했는지 검사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만약 타입 체크를 통과하지 못했다면 에러를 발생시키고, 프로그램의 실행 자체를 막는다. 이를 통해 타입의 일관성을 강제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코드의 구현을 통해 런타임에 발생하는 에러를 줄인다. 1.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 Javascript의 ..
![[ch1] 6조 S.A (Starting Assignment)](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hMZS%2FbtrG3JJkbGF%2Ft6lWvKQj1TuvqKdsc9MIqk%2Fimg.jpg)
[ch1] 6조 S.A (Starting Assignment)
1. 프로젝트 명 2. 소개 3. 와이어 프레임 4. 개발해야 하는 기능들 5. public github repo 주소 1. 프로젝트 명 SUBLab 2. 소개 서브웨이 레시피 존맛 찾고 싶어요 3. 개발해야 하는 기능들 - 로그인 페이지 토큰이 인증되지 않은 유저는 맨 처음 들어왔을 때 로그인 페이지에 진입함. 만약, 회원가입 하지 않은 유저라면 회원 가입 버튼 누르면 회원가입 페이지로 전환. 유저가 ID, PW 기입하고 로그인 버튼 누르면 로그인 됨. 로그인 실패시 오류 메시지 출력. 로그인이 성공하면 메인 페이지로 이동함. - 회원가입 페이지 유저가 ID, PW, PW 확인 필드를 모두 기입하면, 회원가입 버튼이 활성화. 아이디는 중복 확인 버튼 있어서 누르고 중복 확인 성공시에 해당 아이디 사용 ..
python 크롤링할 때 Only the following pseudo-classes are implemented: nth-of-type
구글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셀렉터 카피에서 오는 child 선택자인 nth-child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tr:nth-child(2)를 tr:nth-od-type(2)로 바꿔준다. 기존 # 기존 title = soup.select_one('#old_content > table > tbody > tr:nth-child(2) > td.title > div > a') 변경 후 #변경 title = soup.select_one('#old_content > table > tbody > tr:nth-of-type(2) > td.title > div > a')
![[CSS] box-sizing 속성](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aCeqr%2FbtrFaN1Msw4%2FLabUUXhXUSZBkGxEj7PEd0%2Fimg.png)
[CSS] box-sizing 속성
box-sizing 속성은 요소의 width와 height를 계산하는 방법을 정할 수 있는 속성이다. div와 같은 박스 모델에서 width, height속성은 위의 그림에서 contents-box의 크기를 말한다. 하지만 화면에 그려질 때는 border, padding, contents-box가 크기가 다 더해져서 보여진다. 따라서 크기를 설정할 때, 원하는 크기를 얻으려면 border나 padding을 고려해야하는데, 이를 일일이 고려하면서 그리기는 힘들다. box-sizing 속성을 사용해 이 방식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content-box 기본적인 방법이다. div의 width를 100px로 설정하면 content-box의 width가 100px를 가지고, border크기가 1px이고, pad..
[CSS] Normalize.css - CSS 초기화
내가 짠 코드가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이상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 normalize.css는 브라우저마다 다르게 보이는 스타일들을 하나 통일시키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것 중에 하나이다. 2022년 6월 19일 기준으로 8.0.1버전 CSS /*! normalize.css v8.0.1 | MIT License | github.com/necolas/normalize.css */ /* Document ========================================================================== */ /** * 1. 줄 높이 수정 모든 브라우저에서. * 2. iOS에서 방향 변경 후 글꼴 크기 조정을 방지합니다. */ html { line-height: 1.15; /* 1..
![[TIL] float 또는 inline-block으로 수평정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hZ7Oj%2FbtrENnWI3Lt%2FbDVs1eKDPQnUaI5eWFmHj1%2Fimg.png)
[TIL] float 또는 inline-block으로 수평정렬
위의 화면과 같이 정렬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float로 수평 정렬하기 2. inline-block으로 수평 정렬하기 1. float로 수평 정렬 float 속성은 요소들을 화면위에 띄우는 속성이다. float 속성으로 박스 두개를 왼쪽으로 정렬할 수 있다. HTML left-box right-box next-box float 속성으로 가로 정렬할 때 float 박스들을 싸매는 하나의 큰 div 박스를 만들고 폭을 지정해주는 게 좋다. CSS .left-box { float : left; background-color: dodgerblue; width: 50%; height: 200px; } .right-box { float: left; background-color: darkviolet;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