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
![[TIL] 객체 리터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ruAhp%2FbtrC6HpwG6X%2FAAAAAAAAAAAAAAAAAAAAAHO3s7B4cHX1xKllnaiv-0N_gvj_dDDGeJ9CAWP-p8QY%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5HU7TgOSmnYFOoPieRm%252Fkk3tVFo%253D)
[TIL] 객체 리터럴
1. 객체 리터럴 (Object literal) : 배열이나 함수가 아닌 객체로, 여러 개의 변수를 하나의 변수로 묶을 때 사용한다. 객체 리터럴 내의 name, age와 같은 정보를 속성이라고 한다. 2. 속성(Property) : 속성은 속성 이름(key)과 속성 값(value)으로 이루어져 있다. 3. 배열과 객체 리터럴의 차이점 왜 배열 대신에 객체 리터럴을 사용하는 것일까? 객체 리터럴은 값에 이름이 붙어 있기 때문이다. 4. 객체 리터럴에 접근하기 .(점)또는[ ](대괄호) 로 객체와 객체 속성에 접근할 수 있다. 일반적인 속성은 '객체.속성이름' 으로 접근하고, 위의 코드처럼 '2ca'나 'c a'같은 속성이름은 [](대괄호)로 접근한다. [ ] (대괄호)를 쓸 때는 항상 ' '(따옴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