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Javascript
![[TIL] 변수명 짓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VHB1W%2FbtrCYvuwlH0%2FAAAAAAAAAAAAAAAAAAAAAKs0YH_sHXccKzWJE8lcbJbUnLUxMdKeDiWot8wemXJK%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sWU8Pf2ewBkbbK5ABlFl42QgNfM%253D)
[TIL] 변수명 짓기
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어떤 언어를 사용하든지 간에 변수명은 사용 목적에 맞게 지어야 한다. 변수명 짓는 규칙 1. 변수명이 겹치면 안된다. 2. 문자, 숫자, 특수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문자는 영어를 권장한다. 4. 숫자를 첫 글자로 쓸 수 없다 5. 기호는 $를 많이 사용한다. 6. 띄어쓰기가 안된다. 대신에 CamelCase를 많이 쓴다. Ex) strLength 7. 예약어를 쓸 수 없다. 아래 코드는 예약어 break, void를 변수 명으로 썼을 때 생기는 오류이다. 예약어 중에서도 let은 다른 에러가 난다. ES5에서는 let은 변수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ES6가 나왔을 때, var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let이 예약어로 등장했다. let만이 유일하게 예약어가 아니..
![[TIL] 변수 선언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mRvgr%2FbtrCYiPtNhH%2FAAAAAAAAAAAAAAAAAAAAAOvSqeHC39N0arP0xZlRSQ9_EfpcmINGXJpe1gt4AuwO%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Jkgn6FF2c7Sjemkrpxj8ptSuYZs%253D)
[TIL] 변수 선언하기
1. 변수 메모리상에서 값을 저장하는 공간, 이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한다. ✔ 저장한 값을 언제나 불러올 수 있다. 👉 변수명 str은 변수의 값이 아니라 값이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다. 변수명을 사용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변수명과 매핑된 메모리 주소를 통해 저장된 값(23453243)을 반환한다. 2. 할당, 참조, 선언 ✔ 할당 :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의미 ✔ 참조 :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 들이는 것을 의미 ✔ 선언 : 변수명을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Console.log 에서는 왜 undefined를 돌려주는가? console.log는 콘솔을 그림판처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화면에다가 그리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값을..
![[TIL] Undefined, null 의 차이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k5G5E%2FbtrBSZxxS5J%2FAAAAAAAAAAAAAAAAAAAAAD1OSF9ecSU-T9wo3luMenimrRTWwhnpJlttgzv1pyAh%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MEinqjD9JophaGYwR36yhc5m8G8%253D)
[TIL] Undefined, null 의 차이점
undefined와 null은 같아보이지만 차이점이 존재한다. 1. undefined undefined는 원시값(Primitive type) 중 하나로, 자바와는 달리 자바스크립트는 변수에 저장하는 값에 따라서 자료형이 결정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해당 변수의 자료형이 정해지지 않는(Undefined) 상태(초기화 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낼 때 자동으로 undefined를 반환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undefined를 자동으로 반환한다.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나 값이 주어지지 않은 인수 메서드와 선언에서 변수가 할당받지 않을 때 함수가 값을 return하지 않을 때 undefined는 예약어가 아니므로, 변수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유지보수와 디버..
![[TIL] =, ==, === 의 차이점과 객체의 비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Omb2i%2FbtrBNTb6xNh%2FAAAAAAAAAAAAAAAAAAAAAB_-kOeNFLlA72ilCEtsCCwL5BJOc5A9KOBFROxIn0S-%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iEgb76lOdr3GzIuxfDgkcg9O4hI%253D)
[TIL] =, ==, === 의 차이점과 객체의 비교
1. = = 는 값을 할당할 때 쓰인다. let a = '123'; =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원시타입, 객체 등이 왼쪽의 변수에 저장이 된다. 2. == (Equal Operator) == 는 값만 비교해준다. '1' == 1 //true 1 == true//true 1 == '1'//true 3. === (Strict Equal Operator) === 는 값 뿐만 아니라 타입까지 비교한다. '1' === 1// false 1 === true// false 1 === '1'// false 4. 객체의 비교 객체끼리 비교할 때는 조금 유의할 점이 있다. == 은 주소값을 비교한다. let a = {} //객체 let b = {}//객체 let c = a console.log(a == b) // fal..
![[TIL] 불 값(boolean, 값들의 비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IeJaK%2FbtrBKoYVBhs%2FAAAAAAAAAAAAAAAAAAAAAMO0HQnAGLVghEGj5FArF0Qc325VdkrUmfv6gNXy78dU%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j3FS9EtXuuQYZiJfTjaSAU0GsnY%253D)
[TIL] 불 값(boolean, 값들의 비교)
1. Boolean boolean타입에는 값이 true, false 2가지가 존재한다. true/false의 타입이 boolean인 것을 볼 수 있다. 2. 참 거짓 판별 5가 3보다 크므로 5 > 3 의 값은 true , 5 < 3 의 값은 false가 반환된다. NaN끼리 서로 같다고 했을 때 false가 나온다. MDN 공식 문서에도 나와 있는데 NaN은 다른 모든 값과 비교(==, !=, ===, !==) 했을 때 같지 않으며, 다른 NaN과도 같지 않다. 자바스크립트에서 값을 비교하는 방법은 비교 연산자로 가능하지만, NaN은 자기 자신과 동일하지 않으므로 NaN은 false가 나온다. NaN인지 판별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NaN체크는 Number.isNaN() 또는 Object..
![[TIL] 숫자 기본 (parseInt, NaN)](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ck09CO%2FbtrBIx8DD8M%2FAAAAAAAAAAAAAAAAAAAAAKn8siUIDWWmCXv60QI8xzwnechPea8aWtYVTSQym0_1%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qi4qEQ8twSmNxdUvCGTa%252FHbWVjY%253D)
[TIL] 숫자 기본 (parseInt, NaN)
1. 숫자 기본 10진수로 변환 전 후 지수표기법(정수) 5e4 50000 지수표기법(소수) 5e-4 0.0005 2진법 0b111 7 8진법 0111 73 16진법 0x1a1 417 2진법일 때 숫자 앞에 '0b'을 붙이고, 8진법일 때는 숫자 앞에 '0'을 붙이고, 16진법일 때는 숫자 앞에 '0x'를 붙인다. 16진법 0x1a1을 typeof로 타입 체크를 한다면 👉 숫자임을 볼 수 있다. 2. NaN NaN의 타입은? 👉 숫자임을 볼 수 있다. Not a Number라는 뜻이다. 숫자가 아니지만 공식적으로는 숫자이다. 3. ParseInt :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시키는 함수이다. 타입이 숫자임을 볼 수 있다. 문자열 124가 숫자 124로 변환되어 5와 더해져서 129가 됨을 볼 수 있다. 4. ..
[TIL] 문자열 기본(따옴표, 백틱, typeof)
문자열을 표현 하는 방법 "" (큰 따옴표) '' (작은 따옴표) `` (백틱) Typeof : 값의 자료형을 알려준다. typeof '문자열'// string typeof 123// number